본문 바로가기
영화

유럽 영화 운동에 대해서(1)

by 이슬샘 2024. 2. 5.
반응형

표현주의 영화 개념

표현주의 영화는 1920년대 독일에서 일어난 영화적 경향으로 20세기 초 인상주의나 자연주의의 미학적 관습에 대한 반동으로 일어난 예술운동으로 물리적 현실에 대한 객관적 표현보다는 정신적 세계를 주관적으로 표현하는데 주력하였다. 회화에서 시작한 표현주의 예술운동은 제1차 세계대전 이후 독일의 사회적 상황과 맞물리면서 표현주의 영화 형성에 결정적 영향을 주게 되었다. 표현주의 영화는 미국의 리얼리즘과 자연주의, 프랑스의 인상주의 등과 반대되는 일반적인 양식으로 기존의 카메라 기법, 조명, 배경디자인, 연기, 시나리오 구성 등의 혁신을 가져왔다. 1920년대 후반 급격한 쇠퇴를 맞은 표현주의 영화는 짧은 기간이었지만 세계영화사에 강한 영향을 미쳤다.

표현주의 영화의 특징

영화가 드러내는 악몽과 같은 현실은 당시 독일의 정치적 상황을 정확히 반영하고 있다. 제1차 세계대전의 패배 이후 국가적 모욕감을 느끼고 있었던 독일 사회는 정치적으로 격심하게 불안정한 상태였다. 표현주의 영화는 정치적 상황과 이에 대한 심리적 불안을 표현하기 위해 반(反)사실주의적이며 연극적 재현 방식을 선택했다. 다른 한편, 강박증과 분열증, 폭군, 로봇 등 비인간화된 인간이라는 표현주의 영화의 소재는 광기, 죽음, 운명 등의 낭만주의적 소재와 주제를 계승했다고 볼 수 있다. 표현주의는 이처럼 철저하게 사실주의적 재현을 거부했지만 추상적인 모티브를 사용하며 극단적인 시각적 실험을 시도했던 프랑스 아방가르드 영화작가들과 달리 구상적인 표현 방식을 유지했다. 서사 양식도 전통적인 서사의 진행 방식에 충실했다.

소비에트 아방가르드

1920년대 소비에트 극영화들은 숏과 숏을 연결하는 몽타주의 운용이 영화의 의미를 창조한다는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있었다. 소비에트의 극영화들은 스타를 기용해 대중의 주목을 이끌어 내는 할리우드의 스타시스템과 서사의 매끄러운 진행을 배격하고 몽타주를 사용해 추상적인 관념을 전달하고자 했다. 1920년대 후반 유성영화가 등장했을 때 대표적인 소비에트 극영화 감독이었던 푸돕킨과 예이젠시테인은 사운드의 도입이 영화의 예술적 가능성을 훼손할 것이라며 사운드의 도입에 부정적인 태도를 보이기도 했다.

네오리얼리즘의 전개

2차 세계대전 당시 영화는 전체주의의 선전 수단으로 사용되었다. 2차 세계대전이 끝나고 전쟁의 패전국이었던 이탈리아에는 사회적인 문제들이 산적해 있었다. 네오리얼리즘은 전쟁의 상흔을 지니고 있던 이탈리아의 현실을 필름에 충실하게 기입하려는 영화적 노력이었으며 동시에 모던 시네마의 문법을 예비했다. 네오리얼리즘을 1930년대 독일의 실내극 영화와 프랑스의 시적 리얼리즘 계열의 영화와 비교하면 네오리얼리즘의 형식적 특징을 더 잘 파악할 수 있는데 독일의 실내극과 프랑스의 시적 리얼리즘 계열의 영화가 스튜디오에 재구성된 어두운 세계를 보여 주었다면 네오리얼리즘은 길거리 자연광 아래의 현실을 보여 주었다.

네오리얼리즘의 문화적 맥락

독일 나치즘은 영화를 직접적인 선전의 도구로 간주하고 나치즘 이데올로기를 전파할 선전 영화의 제작을 후원했다. 1930년대 파시즘 정부는 베네치아영화제를 신설하고, 영화 정책을 총괄하는 '영화지도총국'을 설립했다.현실을 은폐하는 사교계 배경의 드라마, 볼거리에 치중한 사극 역시 다수 만들어졌다. 리얼리즘에 관심을 가진 이들에게 이론적 지침이 되었던 운동은 19세기 후반 이탈리아 예술계에 일었던 '베리스모(Verismo, 사실주의)' 운동으로 프랑스 자연주의 문학작품의 영향을 받은 베리스모 운동은 프랑스의 예술적 경향을 이탈리아 문학작품, 오페라, 회화에 각각 이식하고자 했다.